본문 바로가기
놀러가기 좋은 곳 총정리/유용한 정보 총정리

물(water) 에 대해서

by 린스토리 2023. 7. 8.

올여름 가족들과 갈만한 워터파크, 물놀이 장소 등을 포스팅하면서 물에 대한 궁금증이 생기게 되어 물에 대한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지구와 우리 몸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은 죽음, 생명 등을 상징하기도 하고 풍수지리에서는 재물과 관련이 있으며 우리 일상과 맞닿아 있습니다. 이 물에 대한 사람들의 관념이 무엇이고 어떤 물질인지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물의 개요

수소 원자 둘과 산소 원자 하나로 이루어진 화합물로서 지구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물질입니다. 생물의 생명활동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우리 몸의 60~70%가 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리 몸은 물을 통해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노폐물을 배출하며 체온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음식을 소화하거나 흡수, 배설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사람뿐 아니라 지구 표면의 약 70%를 차지합니다. 이 중 약 97.5%는 바닷물이고, 사람이 마실 수 있는 물은 약 2.5%에 불과합니다. 이 물이 기화되고 비가 내리고 하면서 물이 순환되어 사람과 지구가 지금의 상태를 유지해 나갈 수 있는데 이 양이 매우 적어서 물을 소중히 사용해야 합니다. 

 

물은 상온 상태에서 무색 액체로 존재합니다. 0.0도씨에서 녹고 99.98도씨 약 100도씨에서 끓습니다. 흔히 보는 바닷물이 진한 파란색인 이유는  '하늘의 색깔이 반사해서 물이 파랗게 보인다.'라고 알고있지만 사실 더욱 복잡한 이유가 있습니다. 물은 받은 빛의 대부분을 반사해서 낮 시간의 바다의 물은 파랗게 보이지만 간간히 노을이 지거나 밤이 되면 붉게 되거나 남색, 검은색으로 보입니다. 물은 녹색과 적색 파장을 흡수하고 청색 파장을 방출하는 것이 주요 원인입니다. 레일리 산란에 의해 지평선 근처의 물체는 하늘의 색깔이 섞이게 되긴 하지만 물의 이러한 특성 때문에 평소에도 기본적으로 무색이 아닌 아주 옅은 파란색을 띠게 됩니다. 

 

지구의 물

물은 지구상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수많은 천제들 중 액상의 물이 다량으로 분포하고 순환하는 곳은 극히 드뭅니다. 지구에는 액상의 물이 지표의 약 70%를 차지하며 10%는 빙하가 덮고 있어서 약 80%가 물로 덮여 있다 할 수 있습니다. 지구에는 생명체가 태어나기에 충분한 물이 있었기에 태어나고 진화해나갈 수 있었으니 지구의 모든 생명체는 물 없이 살 수도 태어날 수도 없습니다. 

 

물에 대한 관념

프랜시스 크릭은 물이 생명, 그 자체라고 할 정도로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물 그 자체가 생명이 탄생할 때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기에 오랫동안 생명 그 자체를 상징하기도 했습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물은 세상을 이루는 가장 기초적이고 근원적인 물질 중 하나입니다. 원형 상징으로서의 물은 더러운 것을 깨끗하게 해주는 특성이 있어서 정화와 순결을 상징했습니다. 또한 거대한 강하류의 삼각주에서는 강의 범람이 토지의 비옥하게 해 주어 농업 생산량에 큰 영향을 주고 인간의 중요한 식재료인 물고기를 제공해주기도 하는 점 때문에 풍요의 상징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와 반대로 죽은 것이 다시 살아나는 부활이라던가 소멸, 죽음, 이별을 상징하기도 해서 긍정의 의미와 부정의 의미를 둘 다 내포합니다. 큰 호수나 강, 바다와 같은 거대한 물은 변덕스럽고 신비하고 강한 힘이 깃든 느낌, 혹은 그와 같은 존재가 사는 곳으로 여겨지기도 했습니다.

 

4 원소 중에서는 가장 원소에 근접한 물질로 순물질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4 원소의 혼합물을 분리하면 공기가 가장 원소에 근접하긴 하지만 불과 공기의 대류현상인 바람, 땅보다는 범위가 명확하며 간단하게 이루어져 있습니다. 풍수지리에서는 물이 재물과 관련이 있다고 봅니다. 먹고 자는 것이 쉬운 곳에서는 사람이 모여 중심지가 되고 경제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특히 무역이 가능할 정도의 강은 물자가 모이는 중심지 역할을 해서 상공업이 발전하고 문명이 생기기 쉬웠습니다.

 

우리가 물과 관련해서 익히 들어본 것 중에 유사과학으로 과학적인 근거가 없는 마케팅용 허구가 있는데, 물이 육각형의 분자 고리 구조를 가져서 육각수로 칭한다던가 물 결정이 부정적/긍정적 말을 구별한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닙니다. 육각수 이야기를 꺼내는 사람들은 때로는 육각수가 더 몸에 좋다, 육각수는 지방 단백질 구조를 닮아서 몸에 좋다고 주장하며 더 비싸게 물을 사 먹기도 하는데 이는 과학에 대해 무지한 것이니 마케팅, 광고를 전부 믿지 맙시다.